클라우드를 사용하는 이유는 비용절감의 이유가 대부분일 것이다. 그런 부분을 CSP업체들도 인지하고 있고, 비용절감 요인들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AWS에서 공식적으로 제안하는 10가지 절감 방법이 있다.
지난 글에서 살펴본 5가지 방법 다음의 나머지 5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지난 글 : [Cloud 인프라 아키텍트 방법론] AWS 비용을 절약하는 10가지 방법(1)
#6 네트워크 환경을 검증하고, 유휴 LB 삭제를 통한 원가 절감
Trusted Advisor Idle Load Balancers 기능을 활용하면 지난 7일 동안 요청(Request Count) 이 100 미만인 LB를 확인할 수 있다. 미사용 LB라면 해당 LB를 삭제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래 링크를 통해서 AWS 네트워크 비용 분석도 가능하다. 네트워크 비용 분석을 통해서 네트워크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다.
https://aws.amazon.com/ko/blogs/mt/using-aws-cost-explorer-to-analyze-data-transfer-costs/
EC2에서 퍼블릭으로의 데이터 비용이 높다면 Cloud Front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보자. 이미지, 비디오, 정적 콘텐츠를 Amazon의 CDN을 사용해서 AWS의 Edge지역에 캐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속도도 개선할 수 있다.
#7 Spot Instance를 통한 EC2 비용 절감
비중요 서비스에는 Spot인스턴스를 사용하여 비용을 최대 90%까지 줄일 수 있다. 또한 EC2 Auto Scaling을 사용하면 온디맨드, Spot Instance를 모두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Auto Scaling은 Spot인스턴스가 인터럽트되더라도 Autoscale 용량을 유지해 준다. 서비스 용도를 정확히 구분하여 Spot 인스턴스를 적극 활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8 Auto Scaling Group 구성 및 수정
Autoscaling 그룹을 사용하면 EC2를 더욱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다. AWS CLI에서 descript-scaling-activity를 사용하거나 콘솔에서 추가가 가능하다. Auto Scaling Group을 사용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Instance의 활용도를 원하는 대로 그리고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다.
#9 RI 사용하여 RDS, Redshift, ElastiCache 비용 효율화
RI를 사용하여 온디맨드 대비하여 42%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다. 특히 RDS등 DB비용은 다른 비용보다 크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RI의 경우 AWS에서 자동으로 추천하는 사용이 존재하여 아주 쉽게 구매가 가능하다. 또한 AWS Cost Explorer를 사용하여 어떤 RI를 사용했을 때, 얼마의 비용이 절감되는지도 확인이 가능하다. 1년 약정이 최소이지만 손익분기점은 보통 7~9개월 사이이다.
#10 Savings Plan을 사용하여 EC2, Fargate, Lambda 비용 절감
Savings Plan을 활용하여 온디맨드 대비 최대 54%할인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취소가 안되니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AWS 비용 탐색기에 제공되어있는 권장 사항을 사용하면 쉽게 구매가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다음 글을 참고하면 된다.
'- 우당탕탕 Cloud 구축과 운영 > 아키텍트 방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ud 인프라 아키텍트 방법론] AWS 보안 강화를 위한 방법 (Access Key 보안) (0) | 2022.12.29 |
---|---|
[Cloud 인프라 아키텍트 방법론] AWS 비용을 절약하는 10가지 방법(1) (0) | 2022.12.20 |
[Cloud 인프라 아키텍트 방법론] AWS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5단계 (0) | 2022.12.15 |
[Cloud 인프라 아키텍트 방법론] 랜딩존(VPC, VNET 구성) (0) | 2022.12.13 |
[Cloud 인프라 아키텍트 방법론] 랜딩존 구성 원칙 (0) | 2022.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