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당탕탕 Cloud 구축과 운영/지식 동산 (6) 썸네일형 리스트형 [Azure 지식 동산] NSG 정책 쉽게 등록하는 방법 NSG를 정책을 대량으로 투입하려고하면 멘탈이 나가곤 한다. 특히 GUI만 사용할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어떻게하면 NSG 정책을 쉽게 등록 할 수 있을까? #참고 : NSG자체를 생성하는게 아니고 NSG Rule을 NSG에 추가하는 방법이다. - Azure CLI 사용 GUI로는 한번에 넣을 수 없다. CLI를 사용해야 쉽게 넣을 수 있다. 기본적인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az network nsg rule create --name(필수) --nsg-name(필수) --priority(필수) --resource-group(필수) [--access {Allow, Deny}](옵션) [--description](옵션) [--destination-address-prefixes](옵션) [--destinati.. [AWS 지식 동산] EFS사용시 Du와 Df의 용량이 다른 이유 - EFS 용량 조회시 du, df 명령어 조회 결과가 다른 이유 이 현상을 이해하려면 EFS파일시스템의 용량산정방식(미터링)을 알아야한다. 빌링 / 용량에 따른 기본 성능을 결정하기 위해, EFS 파일시스템은 저장된 오브젝트(파일,디렉토리,심볼릭 및 스페셜 파일) 용량을 특정한 크기로 계산하며 1시간단위로 총합을 계산한다.(1시간은 EFS의 미터링 시간이다.) (계산된 크기는 "DescribeFileSystems" API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SizeInBytes":{ "Timestamp": 1403301078, "Value": 29313417216, "ValueInIA": 675432, "ValueInStandard": 29312741784 } 다만 여기서 출력되는 값은 미터링 시간(1시간 기준으.. [AWS 사용법] AWS EC2 만들기(자동 OS세팅 꿀팁 포함) - 신규 EC2 생성 방법 (1) AWS Portal에서 EC2 검색 (2) 우측 상단의 인스턴스 시작 (3) 고급 세부 정보 - 이름 및 태그 : 서버 Hostname 입력(Tag에 Name항목으로 추가됨) - 애플리케이션 및 OS 이미지 : 사용하려고 하는 이미지, 혹은 OS 종류 선택 - 인스턴스 유형 선택(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인스턴스 유형이 별도로 있음) - 키 페어 : 인스턴스 연결 보안을 위해 키페어 생성(권장) - 네트워크 설정 및 Security Group설정 : 기존 미리 생성해둔 VPC / Security Group 추가 (없다면 신규로 생성) - 스토리지 구성 : 프리티어 사용이라면 무료 생성 범위가 존재 - 고급 세부 구성 : 스폿 인스턴스, 인스턴스 자동복구 등 추가 옵션 세팅.. [AWS 지식 동산] AWS EC2란? - AWS에서 사용되는 가상 서버 EC2(Elastic Compute Cloud)는 Onpremise에서의 서버를 의미한다. VMWARE에서 VM을 가상으로 띄우는 것과 같이 EC2를 생성하면 AWS에서 VM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준다. 생성된 EC2를 접속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AWS 콘솔 포털에서 Serial Console을 통해 접속(Linux만 가능) AWS포털에서 Serial Console을 통해 접근이 가능하다. Serial Console은 원격으로 포트 접속하는 것이 아니고, Onpremise에서 서버로 Serial Port를 통해서 접속하는 것과 같아. 직접 연결하는 것이다. 서버 Hang 등으로 원격 접속이 안될 경우에, 접속하기 용이하다. 다만 IAM계정에 Serial Co.. [Azure 지식동산] Azure에서 BYOL로 라이선스 재사용하기 - BYOL이란? BYOL은 Bring Your Own License의 약자로, 약자의 의미대로 자체 라이선스를 활용하여 클라우드에서 활용하겠다는 의미이다. 오늘 이야기할 Azure환경에서는 MIcrosoft 서비스인 만큼 Windows OS 혹은 MS SQL 라이선스에 대한 BYOL이 가능하고, 추가적으로 SUSE, Redhat Linux라이선스에 대해서도 BYOL이 가능하다. 이를 Azure에서는 Azure Hybrid Benefit이라고 칭하며, 최대 85%의 라이선스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고 한다. 1) BYOL장점 Azure의 BYOL, Hybrid Benefit의 장점은 역시 비용 절감이다. Azure 환경에서 OS혹은 DB를 설치 시에 Hybrid Benefit 옵션을 선택하지 않는다면, A.. [AWS 지식 동산] Savings Plan이란? - 1년이나 3년 쓰겠다고 약속해 그럼 싸게 해 줄게 갤럭시나 아이폰을 구매할 때, 보통 통신사 약정 할인을 받곤 한다. 2년 동안 KT나 SKT를 쓰는 대신 휴대전화 요금을 할인해주거나 단말기를 할인해 주는 식으로 말이다. Savings Plan도 휴대전화 약정과 동일하다. 1년이나 3년 동안 시간당 사용 비용을 약정한다면 AWS의 상품을 할인하여 저렴하게 사용하도록 해주는 모델이다. (대상은 EC2, Fargate, Lambda이다.) 만약에 100달러의 EC2 사용량을 약정하면 100달러까지의 사용량에 대해서는 Savings Plan의 할인된 가격에 제공하고, 나머지 사용량에 대해서는 온디맨드 가격으로 청구되게 된다. 다만 휴대전화 구입할 때 통신사 약정이 싸다고 우리가 3년 계약을 하는 게 아닌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