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MSP

(4)
[Azure 지식동산] Azure에서 BYOL로 라이선스 재사용하기 - BYOL이란? BYOL은 Bring Your Own License의 약자로, 약자의 의미대로 자체 라이선스를 활용하여 클라우드에서 활용하겠다는 의미이다. 오늘 이야기할 Azure환경에서는 MIcrosoft 서비스인 만큼 Windows OS 혹은 MS SQL 라이선스에 대한 BYOL이 가능하고, 추가적으로 SUSE, Redhat Linux라이선스에 대해서도 BYOL이 가능하다. 이를 Azure에서는 Azure Hybrid Benefit이라고 칭하며, 최대 85%의 라이선스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고 한다. 1) BYOL장점 Azure의 BYOL, Hybrid Benefit의 장점은 역시 비용 절감이다. Azure 환경에서 OS혹은 DB를 설치 시에 Hybrid Benefit 옵션을 선택하지 않는다면, A..
[Cloud 인프라 아키텍트 방법론] AWS vs Azure vs ... - 끓어오르고 있는 CSP 시장 23년을 향해가는 지금 정말 많은 CSP사가 있다. 대표적으로는 1등 기업인 AWS부터 Azure, NCP, GCP 그리고 삼성까지 CSP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수많은 CSP 중에 어떤 CSP를 사용해야 할까? 우선 CSP Market Share를 살펴보자. 22년 기준 아래와 같다. 1위 AWS 34% 2위 Azure 22% 3위 GCP 9.5% 4위 Alibaba 6% 5위 Others 28.5% https://dgtlinfra.com/top-10-cloud-service-providers-2022/ AWS의 Market Share 2019년 44%, 2020년 40% AWS의 Market Share는 점점 줄고있지만 그래도 전체 파이의 1/3 ..
[Cloud 인프라 아키텍트 방법론] 클라우드 환경으로 가기 전 우리가 인지 해야하는 점들 - CSP 환경으로 가기 위한 조건 보통 Onpremise환경에서 클라우드 환경으로의 변화를 고려할 때, 막막함을 느끼기 마련이다. 처음 시작할 때는 도대체 왜 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을 해야 하는지, 전환해서 얻는 이점이 도대체 무엇인지 처음에는 알지 못했다. (사실 그 당시 전환이 진행된 이유는 남들이 하니 우리도 해야 한다는 목적이 대부분이었다.) 클라우드 환경으로 갔을 때, 어떤 장단점이 있고, 어떤 환경에 어울리는지는 전환이 다 끝나고 운영을 하며 현실과 맞닿고 무지성적인 전환의 흔적들의 정리하며 비로소 알게 되었다. 나의 경험에 비추어 보았을 때 클라우드로 가기 전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는 아래와 같다. 1. 고객과 사용자의 클라우드 환경에 대한 이해 고객과 서비스 사용자 관점에서는 사실 On..
[Cloud 인프라 아키텍트 방법론] 클라우드 꼭 써야 할까? - 클라우드가 무엇일까? 클라우드의 유행은 이미 몇 년 전부터 한창이었고, 지금은 유행을 넘어 인프라 아키텍처로써 기본이 되어버린 게 사실이다. 그럼 클라우드란 무엇일까? 클라우드의 설명은, 이미 많은 사이트에서 아주 잘 설명해주고 있다. 간단하게 말하면 IaaS(Infra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의 단어처럼 Onpremise서비스를 대신해주는 서비스이다. IaaS, PaaS처럼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말이다. 만약 당신이 하드웨어를 빌려 쓰고 싶으면 IaaS 서비스를 쓰면 되고, 플랫폼을 빌리고 싶으면 PaaS를 쓰면 되고, Software를 빌려 쓰고 싶으면 SaaS를 쓰면 된다. - CSP? MSP? 클라우드를 써볼까 고민한 다면 위의 두 단어는 한..

반응형